C/C언어 기초

04. 상수, 형변환

eun_coco 2022. 8. 2. 21:01

상수


- 항상 같은 수, 변경할 수 없는 데이터
리터럴 상수 : 사용자가 작성하는 문자 그대로를 의미 즉 문자, 정수, 실수, 문자열 그 자체
심볼릭 상수 : 이름을 갖고 있는 상수
- 심볼릭 상수의 선언
    -> 방법: 자료형 상수명; 이떄, 자료형의 앞이나 뒤에 const 키워드를 추가해준다.
            -> ex). const int con; or int const con;
    -> 반드시 초기화를 같이 진행해줘야 함
    -> 그렇지 않으면 이후에 값을 할당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함

 

 

예제 1)


int const con = 5;

printf("%d", con);

/*출력결과
5
*/

 

 


형변환

 

- c언어에서 연산이 진행될 때 모든 값이 같은 타입으로 자료형 변환 후 연산이 진행되는데, 이를 형 변환이라고 한다.
자동 형 변환 : C컴파일러가 자동으로 진행해주는 형 변환
    -> char -> short -> int -> long -> float -> double 순서로 진행
    -> 정수와 실수가 연산이 진행이 될 때는 데이터의 손실이 적은 실수형으로 형 변환이 진행된다.


강제 형 변환 : 사용자가 캐스트 연산자를 사용해 강제적으로 수행하는 형 변환
    -> 방법 : 변환하고 싶은 데이터 앞에 (변환할 자료형)을 작성

 

 

예제 2)


printf("연산 결과: %d\n", 3 + (int) 4.8);

/*출력결과
연산 결과: 7
*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