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ython/파이썬 기초

<인프런 나도코딩 기본편> 문자열 처리- 문자열처리함수(lower, upper, .isupper, index, find, replace, count)

eun_coco 2022. 7. 14. 17:51

문자열처리함수에 대해 알아보자.

 

문자열.lower() : 문자열의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바꿔준다.

문자열.upper() : 문자열의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바꿔준다.

문자열[인덱스].isupper() : 문자열의 [인덱스] 번째 문자가 대문자인지를 확인한다.

문자열[인덱스].islower() : 문자열의 [인덱스] 번째 문자가 소문자인지를 확인한다.

 

len(문자열) : 문자열의 전체 길이를 반환한다.

 

문자열.index( " " ) : 문자열에서 " " 안의 문자가 몇번째 인덱스에 위치해 있는지 출력한다

문자열.index( " " , index  + 1 ) : index + 1 은 start 위치를 의미한다. 따라서 문자열에서 두번째로 " " 안의 문자가 등장한 인덱스 위치를 반환한다.

 

문자열.find( " " ) : 원하는 문자가 위치한 인덱스를 반환한다.

 

문자열.count( " " ) : 문자열에서 " " 안의 문자가 총 몇 번 등장하는지 출력한다.

 

c.f. ) 문자열.index 와 문자열.find 의 차이

문자열.find 를 이용해 문자열에 등장하지 않는 문자를 찾게 되면 -1을 반환한다.

문자열.index 를 이용해 문자열에 등장하지 않는 문자를 찾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다.

 


# 문자열처리함수

python = "Python is Amazing"

print(python.lower()) #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바꿔줌
print(python.upper()) #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바꿔줌
print(python[0].isupper()) # 파이썬의 [0]번째 문자가 대문자인지를 확인
print(len(python)) # 문자열의 전체 길이를 반환
print(python.replace("Python", "Java")) # 특정 문자열을 찾고 이를 다른 문자열로 바꿔줌, Python 이라는 문자열을 Java 라는 문자열로 바꿔준다.

index = python.index("n")
print(index) # python 이라는 문자열에서 n이라는 문자가 몇번째 인덱스에 위치해 있는지 출력

index = python.index("n", index + 1) # 두 번째 인자는 start 위치이다. 따라서 python 문자열에서 n이라는 문자가 있는 두번째 인덱스를 출력한다.
print(index)

print(python.find("n")) # find 함수 원하는 문자가 위치한 인덱스를 반환
print(python.find("Java")) # find 함수에서는 원하는 값이 문자열에 없으면 -1을 반환함
print(python.index("Java")) # index 함수에서는 원하는 값이 문자열에 없으면 오류가 난다.

print(python.count("n")) # python 문자열에서 'n'이라는 문자가 총 몇번 등장하는지 출력

결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