방법 1 ) % 이용
ex)
print("나는 %d살입니다." %20)
print("나는 %s을 좋아해요." % "파이썬")
print("Apple 은 %c로 시작해요." % "A")
print("나는 %s살입니다." %20)
print("나는 %s색과 %s색을 좋아해요." % ("파란", "빨간"))
<출력결과>
나는 20살입니다.
나는 파이썬을 좋아해요.
Apple 은 A로 시작해요.
나는 20살입니다.
나는 파란색과 빨간색을 좋아해요.
방법 2 ) format 사용
ex)
print("나는 {}살입니다.".format(20))
print("나는 {}색과 {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"파란", "빨간"))
print("나는 {0}색과 {1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"파란", "빨간"))
print("나는 {1}색과 {0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"파란", "빨간"))
<출력결과>
나는 20살입니다.
나는 파란색과 빨간색을 좋아해요.
나는 파란색과 빨간색을 좋아해요.
나는 빨간색과 파란색을 좋아해요.
방법 3) { } 안에 변수명 넣기
print("나는 {age}살이며, {color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age = 20, color = "빨간"))
print("나는 {age}살이며, {color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color = "빨간", age = 20, ))
<출력결과>
나는 20살이며, 빨간색을 좋아해요.
나는 20살이며, 빨간색을 좋아해요.
방법 4 ) f 사용 ( v3.6 이상 ~ )
ex )
age = 20
color = "빨간"
print(f"나는 {age}살이며, {color} 색을 좋아해요.")
<출력결과>
나는 20살이며, 빨간 색을 좋아해요.
# 문자열 포맷
# 방법 1
print("나는 %d살입니다." %20)
print("나는 %s을 좋아해요." % "파이썬")
print("Apple 은 %c로 시작해요." % "A")
print("나는 %s살입니다." %20)
print("나는 %s색과 %s색을 좋아해요." % ("파란", "빨간"))
# 방법 2
print("나는 {}살입니다.".format(20))
print("나는 {}색과 {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"파란", "빨간"))
print("나는 {0}색과 {1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"파란", "빨간"))
print("나는 {1}색과 {0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"파란", "빨간"))
# 방법 3
print("나는 {age}살이며, {color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age = 20, color = "빨간"))
print("나는 {age}살이며, {color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color = "빨간", age = 20, ))
# 방법 4 (v3.6 이상~)
age = 20
color = "빨간"
print(f"나는 {age}살이며, {color} 색을 좋아해요.")
'Python > 파이썬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인프런_파이썬 기본편> 자료구조 - 리스트(index, append, insert, pop, sort, reverse, clear, extend ) (0) | 2022.07.16 |
---|---|
<인프런 나도코딩 기본편> 문자열 처리 - 탈출문자(\n, \r, \b, \t) (0) | 2022.07.16 |
<인프런 나도코딩 기본편> 문자열 처리- 문자열처리함수(lower, upper, .isupper, index, find, replace, count) (0) | 2022.07.14 |
<인프런 나도코딩 기본편> 문자열 처리 - 슬라이싱 (0) | 2022.07.14 |
<인프런 나도코딩 기본편> 연산자 - 숫자처리함수(abs, pow, max, min, round, floor, ceil, sqrt) (0) | 2022.07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