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35

<인프런 나도코딩 기본편> 문자열 처리 - 문자열 포맷

방법 1 ) % 이용 ex) print("나는 %d살입니다." %20) print("나는 %s을 좋아해요." % "파이썬") print("Apple 은 %c로 시작해요." % "A") print("나는 %s살입니다." %20) print("나는 %s색과 %s색을 좋아해요." % ("파란", "빨간")) 나는 20살입니다. 나는 파이썬을 좋아해요. Apple 은 A로 시작해요. 나는 20살입니다. 나는 파란색과 빨간색을 좋아해요. 방법 2 ) format 사용 ex) print("나는 {}살입니다.".format(20)) print("나는 {}색과 {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"파란", "빨간")) print("나는 {0}색과 {1}색을 좋아해요.".format("파란", "빨간")) print("나..

<인프런 나도코딩 기본편> 문자열 처리- 문자열처리함수(lower, upper, .isupper, index, find, replace, count)

문자열처리함수에 대해 알아보자. 문자열.lower() : 문자열의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바꿔준다. 문자열.upper() : 문자열의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바꿔준다. 문자열[인덱스].isupper() : 문자열의 [인덱스] 번째 문자가 대문자인지를 확인한다. 문자열[인덱스].islower() : 문자열의 [인덱스] 번째 문자가 소문자인지를 확인한다. len(문자열) : 문자열의 전체 길이를 반환한다. 문자열.index( " " ) : 문자열에서 " " 안의 문자가 몇번째 인덱스에 위치해 있는지 출력한다 문자열.index( " " , index + 1 ) : index + 1 은 start 위치를 의미한다. 따라서 문자열에서 두번째로 " " 안의 문자가 등장한 인덱스 위치를 반환한다. 문자열.find( " ..

<인프런 나도코딩 기본편> 문자열 처리 - 슬라이싱

문자열 슬라이싱에 대해서 알아보자. 문자열을 작성하고 인덱스를 통해 슬라이싱할 수 있다. jumin = "990120-1234567" jumin[7] jumin[0:2] : 0부터 2 직전까지, 즉 jumin[0]부터 jumin[1]까지 jumin[:6] : 처음부터 jumin[5]까지 jumin[7:] : jumin[7]부터 끝까지 jumin[-7:] : 맨 뒤에서 7번째부터 끝까지 추출 c.f.) jumin[-1] = '7' jumin[-2] = '6' jumin[-3] = '5' 등등 이다. # 문자열 슬라이싱 jumin = "990120-1234567" print("성별 : " + jumin[7]) print("연 : " + jumin[0:2]) # 0부터 2 직전까지 (0,1) print("월 ..

<인프런 나도코딩 기본편> 연산자 - 숫자처리함수(abs, pow, max, min, round, floor, ceil, sqrt)

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몇 가지 숫자처리함수들에 대해서 알아보자. abs 함수 : 절댓값 함수 pow 함수 : 거듭제곱 함수 max 함수 : 최댓값을 출력하는 함수 min 함수 : 최솟값을 출력하는 함수 round 함수 : 반올림한 값을 출력하는 함수 floor 함수 : 내림한 값을 출력하는 함수 ceil 함수 : 올림한 값을 출력하는 함수 sqrt 함수 : 제곱근의 값을 출력하는 함수 c.f. ) from 모듈명 import * 의 의미 : 모듈 속 모든 함수를 참조 없이 함수 명만으로 사용가능하다. # 숫자처리함수 print(abs(-5)) # 절댓값 함수, 결과 : 5 print(pow(4,2)) # 거듭제곱 함수, 결과 : 4^2 = 4*4 = 16 print(max(5, 12)) # 최댓값을 출력,..

<인프런 나도코딩 기본편> 연산자 - 랜덤함수(random, randrange, randint)

랜덤함수 에 대해서 알아보자. #랜덤함수 from random import * print(random()) # 0.0 ~ 1.0 미만의 임의의 값 생성 print(random() * 10) # 0.0 ~ 10.0 미만의 임의의 값 생성 print(int(random() * 10)) # 0.0 ~ 10.0 미만의 임의의 정수값 생성 print(int(random() * 10) + 1) # 1 ~ 10 이하의 임의의 값 생성 print(int(random() * 45) + 1) # 1 ~ 45 이하의 임의의 값 생성 print(randrange(1, 46)) # 1 ~ 45 이하의 임의의 값 생성 print(randint(1, 45)) # 1 ~ 45 이하의 임의의 값 생성 * randrange 에서 미만,..